辛씨인물
辛씨인물 | http://신경, 신내옥, 신홍립 |
---|
신경 할아버지
#신경(시조:8학사) - 공식문서 기록에 있는 정식 8학사
#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(문하시랑평장사에 대한 내용은 찾지 못함)
.
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(시행일시 1076년(문종 30) 폐지일시
1361년(공민왕 10) / 고려시대 정2품 상계 #문관 의 품계.
.
금자흥록대부(金紫興祿大夫)의 후신으로 1076년(문종 30)에 문산계 29계 가운데 제3계로 정하여졌다.
.
1275년(충렬왕 1)에 그 명칭이 광정대부(匡靖大夫)로 바뀌었으며, 1308년(충선왕 복위년)에는 정2품으로 올랐으나 이듬해 종2품 상계로 되고, 1356년(공민왕 5)에 다시 금자광록대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종1품 상계가 되었다. 그리고 1361년에는 정2품 광정대부로 바뀌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였다.
.
[네이버 지식백과] 금자광록대부 [金紫光祿大夫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
#내옥乃沃 조선 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.
송암 권호문(1532~1587) #사돈지간, 겸암 류운용(생몰기록 없음), 학봉 김성일(1538~1593)과 도의로서 교우
.
봉정사 초입 명옥대 옆 바위에 함께 새겨진 인물로는 문위세, 윤강중, 이재
.
신내옥은 현재의 강원도 영월군 남면 월휴리에서 태어났다. 퇴계退溪 이황李滉 가르침을 받기 위해 안동 서쪽의 거진으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낙양촌洛陽村(현 안동시 수하동)으로 이주하였다.
.
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동문 중 류운룡柳雲龍, 권호문權好文 등과 가까이 지냈다. 출사하지 않고 도학 공부에 전념하여 마을에서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과 함께 경광서당鏡光書堂을 지어 마을 젊은이들을 가르쳤다.
.
문집으로 『일죽재집一竹齋集』이 있으나 독립된 문집으로 간행되지 못하고 아들 신홍립辛弘立의 『추애집(秋厓集)』과 신의립辛義立의 『죽옥집(竹屋集)』을 함께 묶어 『낙양세고(洛陽世稿)』로 간행되었다.
.
#좌승지左承旨 에 추증되었다.
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.
.
[네이버 지식백과] 신내옥 [辛乃沃] (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)
#홍립弘立 1558년(명종 13) ~ 1638년(인조 16)
계회도 속에 년치가 안돼 누각 아래 부복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림에 남음 / 문신, 학자, 추애유집
조선시대 홍문관(弘文館)에 둔 정오품(正五品) 관직으로 정원은 2원이다. 위로 영사(領事: 正一品)가 1원으로 영의정(領議政)이 예겸하며, 대제학(大提學: 正二品), 제학(提學: 從二品), 부제학(副提學: 正三品 堂上), 직제학(直提學: 正三品 堂下), 전한(典翰: 從三品), 응교(應敎: 正四品), 부응교(副應敎: 從四品) 각 1원이 있고, 아래로 부교리(副校理: 從五品), 수찬(修撰: 正六品), 부수찬(副修撰: 從六品) 각 2원, 박사(博士: 正七品), 저작(著作: 正八品) 각 1원, 정자(正字: 正九品) 2원이 있다.
홍문관교리(弘文館校理: 正五品)는 1470년(성종 1)에 집현전의 성격을 계승한 홍문관이 설치되면서 2명으로 구성되어, 주로 문한(文翰)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였다. 또 모두 동반(東班: 文官)을 임용하였고, 경연관(經筵官)·사관(史官)·지제교(知製敎)를 정례대로 겸임하였으며, 사헌부(司憲府)·사간원(司諫院)과 함께 삼사(三司)의 일원으로 간언(諫言) 활동에 참여하였다. 부교리(副校理: 從五品)·수찬(修撰: 正六品)·부수찬(副修撰: 從六品)과 함께 서벽(西壁)이라고 칭하여졌고, 통칭 옥당(玉堂)이라 불렸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홍문관교리 [弘文館校理] (관직명사전, 2011. 1. 7., 한국학중앙연구원)
#춘추관기사관 (네이버에 관직설명이 없음)
.
성품이 인후하고 문장을 좋아하여 1582년(선조 15) 사마시에 합격하고, 류운용柳雲龍·권호문權好文에게서 사사하여 그 연원淵源을 이어받았다. 1612년(광해군 3)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를 거쳐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고 외임으로 무안務安·용인龍仁의 수守를 역임하였다.
.
뒤에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훈家訓을 전수하며, 김용金涌·김집金集·김응조金應祖 등 동문同門 40여 명과 회합해 스승인 권호문선생을 재사하면서 제문을 작성하는 등 스승에 대한 추모의 정성을 다하였다. 저서로는 『추애유집秋厓遺集』이 있다.
.
[네이버 지식백과] 신홍립 [辛弘立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
고려말 반쪽 3년상을 치른 영숙이상은 가짜로 판명.